티스토리 뷰
목차
2025 근로장려금 소득 기준 총정리
근로장려금을 신청하려는 분들이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건 소득 기준입니다. “나는 소득이 많아서 탈락일까?”, “적어서 더 받을 수 있나?” 이런 고민들을 하게 되죠. 저도 처음 신청할 때, 제 연 소득이 기준 안에 들어가는지부터 확인했었어요. 이번 글에서는 2025 근로장려금 소득 기준을 가구 유형별로 정리하고, 실제 예시까지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근로장려금 소득 기준이란?
근로장려금은 단순히 “소득이 적으면 무조건 지급”되는 제도가 아닙니다. 일정한 소득 구간 안에 있어야만 지급되는데, 이 구간에서 가장 많이 받을 수 있고, 소득이 구간을 벗어나면 금액이 줄어들거나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5년 예상 소득 기준 (가구 유형별)
가구 유형 | 연 소득 기준 | 최대 지급액 |
---|---|---|
단독 가구 | 약 2,200만 원 이하 | 150만 원 |
홑벌이 가구 | 약 3,200만 원 이하 | 260만 원 |
맞벌이 가구 | 약 3,800만 원 이하 | 300만 원 |
위 기준은 국세청에서 매년 공시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한 2025년 예상 수치입니다. 정확한 금액은 연말 국세청 안내문을 꼭 확인하세요.
가구 유형별 소득 기준 상세
1. 단독 가구
배우자와 자녀가 없는 가구를 의미합니다. 연 소득이 약 2,200만 원 이하일 때 지급 대상이 되며, 소득이 1,200만 원 전후일 때 가장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2. 홑벌이 가구
배우자 또는 부양자녀가 있지만, 배우자의 소득이 없는 경우입니다. 연 소득이 약 3,200만 원 이하라면 신청할 수 있고, 2,000만~2,400만 원 구간에서 가장 많은 금액을 받습니다.
3. 맞벌이 가구
부부 모두 소득이 있는 경우입니다. 연 소득 합계가 약 3,800만 원 이하라면 신청 가능하며, 두 사람의 소득 합계가 중간 구간일 때 가장 많이 받습니다.
소득 산정 방식
근로장려금에서 말하는 “소득”은 단순한 월급만 보는 게 아니라, 근로소득 + 사업소득 + 종교인소득을 합산한 금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그래서 프리랜서나 자영업자도 사업소득 신고 내역이 반영됩니다.
실제 예시
예시 1: 단독 가구
김 씨(35세, 단독, 연 소득 1,500만 원) → 약 140만 원 지급 예상
예시 2: 홑벌이 가구
박 씨(배우자, 자녀 1명, 연 소득 2,200만 원) → 약 230만 원 지급 예상
예시 3: 맞벌이 가구
이 씨 부부(소득 합계 3,500만 원) → 약 200만 원 지급 예상
주의해야 할 점
- 소득이 많으면 제외되지만, 너무 적어도 지급액이 줄어들 수 있음
- 사업소득 누락 신고 시 → 환수 사유 발생
- 부양 자녀가 있으면 소득 기준이 더 유리해질 수 있음
제가 아는 분도 소득이 거의 없는 상태라 “많이 받을 줄 알았는데 왜 적게 주냐” 했던 적이 있어요. 근로장려금은 ‘적당한 소득 구간’을 유지할 때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꼭 기억하세요.
정리
2025 근로장려금 소득 기준은 단독 2,200만 원, 홑벌이 3,200만 원, 맞벌이 3,800만 원 수준입니다. 소득이 적을수록 무조건 많이 받는 게 아니라, 일정 구간 안에 있을 때 가장 많은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전에 본인의 소득과 가구 유형을 꼭 확인하고, 국세청 홈택스 모의계산기를 활용하면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근로장려금 소득 기준